티스토리 뷰
목차
갑작스럽게 추워지고 한파주의보가 발효되면 추위와의 전쟁이 시작이 되는데요. 겨우 냉기만 없게 난방을 했는데 작년보다 더 많이 나온 도시가스 요금 때문에 황당하시죠?
아낀다고 해도 한계가 있으니 조금 더 똑똑하게 절약하는 방법.과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을 통해 환급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 드릴께요.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신청기간 안에 신청하셔야 하니 서두르시기를 바랍니다.
💡시간절약을 원하신다면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💡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동절기 동안 가스 사용량을 절감하면 현금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캐시백 지급 기준
도시가스 캐시백을 신청하는 모든 분들에게 주면 좋겠지만,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만 지급이 되는데요.
사용량의 폭이 높을수록 지급 금액도 높아지며, 구간이 있으니 경계구간일 때에는 잘 챙겨서 더 많이 환급 받으셔야 합니다.
절감율이 높을수록 지급 단가도 높아지며, 상세 지급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3% 이상 ~ 10% 미만: 50원/㎥
- 10% 이상 ~ 20% 미만: 100원/㎥
- 20% 이상 ~ 30% 이하: 200원/㎥
도시가스 절약 사용량에 따라 얼마나 캐시백이 가능한지를 계산하고 싶으면 아래에서 모의 계산을 해 보시면 됩니다.
⬇️ 숫자만 입력하시면 얼마나 환급을 받을 수 있는지 금액이 나옵니다. ⬇️
저희집을 예로 입력을 해 보니 캐시백 금액이 생각보다 많은 금액이더라구요.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을 신청하는 방법은 K-가스캐시백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.
👉 K- 가스캐시백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.
👉 계약자 정보 등록을 하는데 현재 이용중인 도시가스사와 고객식별번호를 등록하셔야 합니다.
- 정보는 추후 사용량 조회 및 절감 여부 판단에 사용됩니다.
👉 절감 기간 동안 도시가스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체크를 하셔서 확인하신 뒤에 절감 목표를 설정
👉 신청 완료 : 신청 기간 내에 신청 완료
신청기간
2024년 12월 1일 - 2025년 3월 31일 ( 4개월간)
- 은행 점검시간인 23:30- 00:30분 사이에 피해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절감기간
2024년 12월 1일 - 2025년 3월 31일 ( 4개월간)
산정기간 및 지급 시기
산정기간 : 2025년 5월 - 2025년 6월
장려금 지급시기 : 2025년 7월 - 2025년 8월
신청 자격
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. 다만, 취사용 요금제는 제외되며, 계약자 정보와 신청자 정보가 일치해야 합니다.
신청 제외 대상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캐시백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
- 전출, 전입 또는 명의변경으로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- 계약자 정보 제공 동의서 미제출
-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한 세대
-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 오기입을 해서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- 주택난방용 이외에 산업용, 업무난방용 등의 타용도 요금제 사용자
- 기타 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도시가스 사용량 절약 팁
1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(18~20도)으로 유지하고, 불필요한 난방을 줄입니다.
2. 적정 습도 40-60% 유지하기
3. 외출시 보일러 "외출모드"로 전환하기
4.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
5. 창문 틈새나 문틈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하세요.
6. 보일러 청소를 하고 난방배관의 공기를 빼 놓으셔야 합니다.
7. 난방 사용 시간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고, 외출 시 난방기를 끄는 습관을 들이세요.
결론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경제적 혜택과 에너지 절약이라는 두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. 신청 대상과 방법을 숙지하고, 절약 팁을 활용해 최대한의 절감을 실현해보세요. K-가스캐시백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고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많이 읽은 글